음양오행(陰陽五行)이란 무엇인가?
1. 음양의 원리
음과 양이라는 말의 본뜻은 문자그대로 해석하면 언덕 위로 해가 떠오르면 응달과 양달이 생긴다는 데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는데, 내경(內經)의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서는 다음과 같이 갈파하였다.
"음양야(陰陽也) 천지지도야(天地之道也) 만물지강기(萬物之綱紀) 변화지부모(變化之父母) 생살지 본시(生殺之本始) 신명지부야(神明之府也) 치병필구어본(治病必求於本)"
"음양(陰陽)이란 천지(天地)의 길(道)이고, 삼라만상을 통제하는 기틀이며, 모든 변화를 주재하고, 살리고 죽이는 것이 바로 여기에서 나온다. 또한, 신령한 기운이 가득차 있어, 모든 생물체의 병(病)은 음양의 조절을 통해서 고쳐질 수 있다"
또한 주역의 계사전(繫辭傳)에서는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謂道)라는 구절이 있는데,
"우주 삼라만상에는 음(陰)과 양(陽)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가지의 기운이 있어, 이들간의 대립되는 작용으로 인하여 온 세상의 무궁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2. 음양 오행의 원리
음은 땅이고 양은 하늘이다. 하늘과 땅이 서로 통하여 만물을 생성하고 키워내며 순환하여 모든 만물이 무궁히 발전하는 것이 음양의 조화이다. 그리고 木火土金水의 오행의 특수한 기(氣)는 우주 만물의 원천을 이루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체의 근본이 기(氣)에 있다.
3. 오행(五行)의 상생상극(相生相剋)
오행은 서로 상생하는 것과 상극하는 것이 있다. 이 오행의 상생과 상극은 신비력이 있다.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生木
나무는 불을 살리고, 불은 흙을 살리고, 흙은 금을 살리며, 금은 물을 살리고, 물은 나무를 살린다
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金剋木
나무는 흙를 이기고, 흙은 물을 이기고, 물은 불을 이기며, 불은 금을 이기고, 금은 나무를 이긴다
오행일람표
구 분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음양(陰陽) |
음(陰) |
양(陽) |
양(陽) |
양(陽) |
음(陰) |
성질(五性) |
생성 |
성장, 분열 |
조화, 완성 |
수렴, 결실 |
휴식, 응집 |
방위(方位) |
동방(東方) |
남방(南方) |
중앙(中央) |
서방(西方) |
북방(北方) |
천간(天干) |
갑(甲), 을(乙) |
병(丙), 정(丁) |
무(戊), 기(己) |
경(庚), 신(申) |
임(壬), 계(癸) |
지지(地支) |
인(寅),묘(卯),진(辰) |
사(巳),오(午),미(未) |
- |
신(申),유(酉),술(戌) |
해(亥),자(子),축(竺) |
계절(季節) |
봄(春) |
여름(夏) |
긴 여름(長夏) |
가을(秋) |
겨울(冬) |
기후(氣候) |
바람(風) |
뜨거움(熱) |
습기(濕氣) |
메마름(乾燥) |
차가움(寒) |
기운(氣運) |
기(氣) |
광명의 신(神) |
뜻(意) |
혈(血) |
정(精) |
사대문(四大門) |
동대문(崇仁門) |
남대문(崇禮門) |
중궁(中宮) |
서대문(崇義門) |
북대문(崇智門) |
경복궁(景福宮) |
동문(建春門) |
남문(光化門) |
경복궁(五皇極) |
서문(迎秋門) |
북문(神武門) |
사단(四端)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색깔(五色) |
푸른색(靑) |
붉은색(赤) |
노랑색(黃) |
흰색(白) |
검은색(黑) |
상징 동물 |
청룡(靑龍) |
주작(朱雀) |
- |
백호(白虎) |
현무(玄武) |
창조 덕성 |
元(放) |
亨(蕩) |
통합(統合) |
利(神) |
貞(道) |
욕심(五慾) |
정욕(情慾) |
색욕(色慾) |
- |
탐욕(貪慾) |
노욕(老慾) |
오관(五官) |
눈(目) |
혀(舌) |
입(口) |
코(鼻) |
귀(耳) |
오성(五星) |
목성(木星) |
화성(火星) |
토성(土星) |
금성(金星) |
수성(水星) |
오제(五帝) |
청제(靑帝) |
적제(赤帝) |
황제(黃帝) |
백제(白帝) |
흑제(黑帝) |
오성(五聲) |
각(角) |
징(徵) |
궁(宮) |
상(商) |
우(羽) |
오수(五數) |
팔(八) |
칠(七) |
오(五) |
구(九) |
육(六) |
신체(五體) |
근육(筋) |
혈맥(血脈) |
살(肉) |
털(毛) |
뼈(骨) |
맛(五味) |
신맛(酸) |
쓴맛(苦) |
단맛(甘) |
매운맛(辛) |
짠맛(鹽) |
감정(五情) |
분노(怒) |
기쁨(喜) |
사려(思) |
슬픔(悲) |
두려움(恐) |
오장(五臟) |
간(肝) : 血 |
심장(心) : 神 |
비장(脾) |
허파(肺) : 氣 |
콩팥(腎) : 精 |
육부(六腑) |
쓸개(膽) |
작은창자(小腸) |
위(胃), 삼초(三焦) |
큰창자(大腸) |
오줌보(膀胱) |
정신(精神) |
혼(魂) |
신(神) |
뜻(意) |
백(魄) : 넋 |
정(精) |
짐승의 종류 |
들짐승(走類) |
날짐승(飛類) |
사람(人類) |
갑각류(甲類) |
어류(魚類) |
종교(宗敎) |
유(儒) |
기독교(西仙) |
신교(神敎) |
불교(佛) |
선(東仙) |
오대양(五大洋) |
태평양(太平洋) |
남빙양(南氷洋) |
인도양(印度洋) |
대서양(大西洋) |
북빙양(北氷洋) |
육대주(六大洲) |
아시아주 |
구라파주 |
오세아니아주 |
아메리카주 |
아프리카주 |
한글 발음 |
ㄱ, ㅋ |
ㄴ, ㄷ, ㄹ, ㅌ |
ㅇ, ㅎ |
ㅅ, ㅈ, ㅊ |
ㅁ, ㅂ, ㅍ |
성씨(姓氏) |
徐, 成, 黃, 元, 韓, 南, 張, 柳, 申, 安, 梁, 蔣, 方, 杜, 河, 白, 楊, 片, 慶, 郭, 盧, 裵, 文, 王, 班, 陰, 晋, 邵 |
金, 趙, 朴, 崔, 兪, 孔, 高, 車, 康, 劉, 廉, 朱, 陸, 洪, 薰, 固, 虞, 鼎, 周, 延, 火, 秋, 簡, 曺 |
吳, 呂, 禹, 奇, 許, 蘇, 馬, 魯, 曾, 余, 千, 孟, 卞, 卜, 梅, 尙 魚, 瘦, 龍, 皐, 牟, 毛, 南宮, 皇甫, 鮮于 |
李, 尹, 鄭, 姜, 蔡, 羅, 愼, 辛, 丁, 全, 邊, 池, 石, 陳, 吉, 玉, 卓, 薛, 咸, 具, 秦, 唐, 宣, 段, 燈, 陛, 董 |
宋, 權, 閔, 任, 林, 嚴, 孫, 皮, 丘, 都, 田, 沈, 奉, 明, 貢, 牛, 甘, 玄, 陶, 睦, 再, 仇, 童, 東方 |
음양구분표
구 분 |
음(陰) |
양(陽) |
시간과 공간 |
공간(존재의 개념) |
시간(유동적인 흐름) |
계절 |
여름 (지표면이 뜨겁고 땅속은 차갑다) |
겨울 (지표면이 차갑고 땅속은 덥다) |
성질 |
차갑고, 어둡고, 무겁다 |
뜨겁고, 밝고, 가볍다 |
기운의 방향 |
끌어 당기고, 잡아 갈무리한다 |
밀어내고, 흐르고, 퍼져간다 |
식물 |
배추 (땅에서 잡아당기는 기운이 강하여, 쭈 글쭈글하다) |
무우 (땅에서 퍼져 나오는 기운을 받아 소 음인과 태음인에게 좋다) |
가금류 (돼지와 닭)
|
돼지 (생긴 모습대로 자기를 중심으로 먹고 챙기는 힘이 강하며, 욕심이 많아 나만 안다. 성질이 차므로 고기가 익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소주안주로 알맞다) |
닭 (자주 돌아 다니고, 울며 활동적이다. 돼지와 반대로 뜨거운 성질이고, 맥주의 원료인 보리의 성질이 차가우므로 이를 보완하는 안주로 알맞다) |
동물류의 형태 |
학, 기린, 사슴 (마르고 목이 길며, 날숨이 길고 들숨 이 짧다) |
돼지, 하마 (살이 찌고 목이 짧고 굵으며, 날숨이 짧고 들숨이 길다) |
남북한의 특성 |
북한 (겉이 차갑고 속은 뜨겁우며, 다혈질 이고 차가운 음식이 발달함) |
남한 (겉이 뜨겁고 속은 차가우며, 탕종류의 뜨거운 음식 발달함) |
감자와 고구마 |
고구마 (성질이 건조하므로 습하게 보관해야 한다) |
감자 (습하므로 건조해야 한다)
|
동서양인의 비교
|
서양사람 (눈이 안으로 들어가 있고, 밑에서 잡 아 당기는 힘이 강하기 때문에 하체 가 발달함) |
동양사람 (상체가 발달함)
|
구 분 |
흰자 (겉에서 노른자를 싸고 누르는 형상이 며, 노른자에 비해 무겁다) |
노른자 (가운데 있으면서 둥글고, 밖으로 나아가려하는 형상이며 흰자에 비해 가볍다) |
털의 성질
|
여자는 양기가 턱까지 올라오지 못하기 때문에 수염이 나지 않으며, 하체의 음의 기운 때문에 월경을 한다 |
인체의 털은 양기를 보호한다 (눈썹: 비장, 코털: 간장, 겨드랑이털; 심장) |
인체 |
상부 (양기가 올라가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 해서 몸이 딱딱하다) |
하부 (음기가 내려가기 때문에 살과 피부가 물렁하다) |
왼쪽과 오른쪽 |
오른쪽 (심장의 구조를 보면 우심방으로 들어 가 좌심방으로 나온다 |
왼쪽 |
호흡 |
들이 쉬는 숨 (안으로 갈무리 한다) |
내쉬는 숨 (밖으로 퍼져 나간다) |
오방색(五方色)이란?
오방색은 음양오행의 오행을 색으로 나타낸 것으로 목(木)은 청(靑), 금(金)은 백(白), 화(火)는 적(赤), 수(水)는 흑(黑), 토(土)는 황(黃)으로 대응된다. 음양오행 사상에 따르면 흰색,황색,적색은 양(陽)이고 청색,흑색은 음(陰)이며, 각각의 색이 지닌 의미와 상징에 따라 오방신장, 오방처용무, 관복, 오방낭자, 오색실, 색동옷, 오곡, 단청, 화문석 등 우리의 의,식,주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오방색의 의미를 좀 더 살펴보면, 먼저 청색은 동쪽, 봄, 간장(肝腸), 신맛, 기쁨, 인(仁)을 상징하며, 백색은 서쪽, 가을, 폐장(肺臟)과 코, 매운맛, 분노, 의(義)를 상징한다. 적색은 남쪽, 여름, 심장(心臟), 쓴맛, 즐거움, 예(禮)를, 흑색은 북쪽, 겨울, 신장(腎臟), 짠맛, 슬픔, 지(智)를, 황색은 중앙, 비장(脾臟), 단맛, 욕심, 신(信) 등을 상징한다.
식생활과 음양오행
식생활의 중요한 도구인 밥상, 그릇, 수저 등으로 이루어진 상차림에도 음양오행의 사상이 깃들여 있다. 차려진 음식이 놓이는 밥상은 대부분 둥근 형태로 양(陽)을 상징하며 상의 다리가 네개인 것은 사방(四方)과 땅인 음(陰)을 상징한다. 둥근 모양의 그릇은 양으로써, 그릇에 담긴 음식을 통해 하늘의 양기를 몸에 받아들이고자 했다. 또한 둥근 모양의 숟가락은 양이라고 할 수 있고 두개의 젓가락은 음으로써, 수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음과 양의 조화를 의미한다.
또 오행적인 측면으로 볼 때에도 밥상은 나무(木)이며, 수저와 그릇은 금, 은, 놋쇠, 유기 등과 같은 쇠(金)와 흙(土)으로 만든 도자기이고, 간장, 국, 찌개, 동치미 등은 수기(水氣), 생선이나 육류등과 같이 불에 굽거나 찐 것으로 화기(火氣)가 포함되어 있다. 이렇듯 음식과 식기로 이루어진 상차림 하나에도 음양오행의 사상이 깃들어 있어, 옛사람들의 음양오행 사상에 대한 섬세함과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촌수 따지는 법 (0) | 2015.08.07 |
---|---|
[스크랩] 알아두면 좋은 상식들 (0) | 2015.08.07 |
[스크랩] 사극으로 보는 삼국/고려/조선 왕조 가계도 (0) | 2015.08.06 |
[스크랩] 국민연금 1년 늦춰 받으면 연금액 7.2%로 올라 (0) | 2015.08.06 |
[스크랩] 단기와 서기의 유래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