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기에서 다상교류는 신비할때가 너무많습니다, 삼상은 정상적인 위상은 120 도 가 차이나는 벡터의 합성으로 표현 됩니다, 말에 의미를 생각하세요 그렇다면 영상은 상이없다는 말이되겠지요?
그러면 삼상인 경우에는 R,S.T,를 제외한 N ( 중성선 밖에없잖아요)상이 영상이 된다는것을 쉽게 알수가있고 중성선은 대지와 연결되어있지요.
영상전류는 위상의 차이가 없게 되므로 동상전류의 의미가 되며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직류분이 되는것 입니다.
개념이 이해가 되면 영상전류는 다음과같이 간단하게 정의가 됩니다.
1. 삼상 회로에서 중성선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는 전류를 말합니다.
2. 단상회로에서 대지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누설전류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영상전압은 개념이 다릅니다.
영상전류처럼 중성점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는 전압이라고 말하는 분들이 있지만 개념은 같아도 정확한 의미는 다릅니다.
3상 고압은 보통 비접지회로 입니다,(정확하게 말하면 고저항 접지회로)
비접지회로는 건전시에는 각상의 대지전압이 평형이 되어있습니다,예를들어 22.9 KV 라면 22.9/√3 = 13,220V 의 전압이 각상과 대지와의 사이에 걸리게 됩니다.
여기서 한상이 지락이 되었다면 지락상의 대지전압은 떨어지게되고 건전상에서는 상승이되어 불평형 상태로 변하게 되겠지요.
그래서 고장시에는 일반적으로 3상회로는 비대칭이 되므로 계산이 어려워
이를 영상,역상,정상으로 3개의 대칭회로로 분해하여 계산하고 그결과를
합산하여 해를 구하는 방법이 대칭좌표법 이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삼상을 단상으로 간주하고 각상별로 해석하는 방법도있습니다.
이방법을 클라크좌표법 해석 이라고도 하는데 계산은 해보지 않았습니다.
단 여기서 각상간의 22.9KV 는 변하지 않습니다. 이 불평형으로 되어버린 3종의 대지 전압을 백터로 합성을 해보면 단상전압이 되는데 이것이 영상전압 의 3배 값으로 되게 됩니다.
실행하기는 불가하지만 만약에 고압회로에 중성점이 있다면 이중성점과 대지 사이의 전압이라고 말할수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 때문에 영상전압의 개념은 잘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단락 고장과 지락 고장 해석으로 들어가면 상당히 내용이 깊어지게 되지만 영상전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전기학원에서는 고장전류 해석을 깊게 들어가지 않지만 수변전실의 모든 차단장치와 Back-up 방식, 의 기본적인 구성은 고장전류에 의해서 결정 되는것을 기억해 주십시요.
따라서 영상전류는 중요한 기초적인 문제로 해석되고 있습니다,개념의 이해와 차이는 이렇게 중요하지요.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전기에서 다상교류는 신비할때가 너무많습니다, 삼상은 정상적인 위상은 120 도 가 차이나는 벡터의 합성으로 표현 됩니다, 말에 의미를 생각하세요 그렇다면 영상은 상이없다는 말이되겠지요?
그러면 삼상인 경우에는 R,S.T,를 제외한 N ( 중성선 밖에없잖아요)상이 영상이 된다는것을 쉽게 알수가있고 중성선은 대지와 연결되어있지요.
영상전류는 위상의 차이가 없게 되므로 동상전류의 의미가 되며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직류분이 되는것 입니다.
개념이 이해가 되면 영상전류는 다음과같이 간단하게 정의가 됩니다.
1. 삼상 회로에서 중성선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는 전류를 말합니다.
2. 단상회로에서 대지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누설전류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영상전압은 개념이 다릅니다.
영상전류처럼 중성점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는 전압이라고 말하는 분들이 있지만 개념은 같아도 정확한 의미는 다릅니다.
3상 고압은 보통 비접지회로 입니다,(정확하게 말하면 고저항 접지회로)
비접지회로는 건전시에는 각상의 대지전압이 평형이 되어있습니다,예를들어 22.9 KV 라면 22.9/√3 = 13,220V 의 전압이 각상과 대지와의 사이에 걸리게 됩니다.
여기서 한상이 지락이 되었다면 지락상의 대지전압은 떨어지게되고 건전상에서는 상승이되어 불평형 상태로 변하게 되겠지요.
그래서 고장시에는 일반적으로 3상회로는 비대칭이 되므로 계산이 어려워
이를 영상,역상,정상으로 3개의 대칭회로로 분해하여 계산하고 그결과를
합산하여 해를 구하는 방법이 대칭좌표법 이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삼상을 단상으로 간주하고 각상별로 해석하는 방법도있습니다.
이방법을 클라크좌표법 해석 이라고도 하는데 계산은 해보지 않았습니다.
단 여기서 각상간의 22.9KV 는 변하지 않습니다. 이 불평형으로 되어버린 3종의 대지 전압을 백터로 합성을 해보면 단상전압이 되는데 이것이 영상전압 의 3배 값으로 되게 됩니다.
실행하기는 불가하지만 만약에 고압회로에 중성점이 있다면 이중성점과 대지 사이의 전압이라고 말할수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 때문에 영상전압의 개념은 잘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단락 고장과 지락 고장 해석으로 들어가면 상당히 내용이 깊어지게 되지만 영상전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전기학원에서는 고장전류 해석을 깊게 들어가지 않지만 수변전실의 모든 차단장치와 Back-up 방식, 의 기본적인 구성은 고장전류에 의해서 결정 되는것을 기억해 주십시요.
따라서 영상전류는 중요한 기초적인 문제로 해석되고 있습니다,개념의 이해와 차이는 이렇게 중요하지요.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출처 : 화력지원의 에너지 solution center
글쓴이 : 화력지원최재선 원글보기
메모 :
'전기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초보자를 위한 누전차단기의 이해 (0) | 2014.09.23 |
---|---|
[스크랩] 보호계전기 종류 (0) | 2014.09.23 |
[스크랩] 변압기 탭조절하기 (0) | 2014.09.23 |
[스크랩]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 (0) | 2014.09.23 |
[스크랩] 모터 220V 델타결선 / 380V 와이결선의 정확한 이해.............. (0) | 201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