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스크랩] 촌수 와 호칭 또 지칭어 를 바로알자, 촌수 계보도

부산강태공 2015. 5. 28. 21:31

    촌수 와 호칭 또 지칭어 를 바로알자

     

    촌수와 호칭 또 지칭어를 잘 몰라 당황하거나, 마땅한 말을 찾지 못하여 안타깝고 답답할 때가 있지요.
      여기에 게재한 자료는 가장 믿을 수 있고, 권위있다고 보는 '조선일보사'와 '국립국어연구원'이 생활언어의 표준화 작업을 거쳐 펴낸  '우리말의 예절'이란 책자에 수록된 것을 발췌하여 만들었습니다.  
      이 책자는 정부와 민간언론사가 손잡고 조사한 자료와 보완 취재로 기사화, 여론화하는 한편 학계와 사회 저명인사들로 구성한 '화법 표준화 자문위원회'를 설치하여, 위원들이 갈고 다듬은 표준안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전통예법만 고집하시는 분들이나 일부 지방에서는 수용하기 힘든 부분도 있을지 모르나 이 표준안은 민.관이 혼연일체가되어 오랜기간동안 갈고 다듬어 만들어진 것으로,  지면관계상 반대의견이나 이의 제기한 문제점 등을 수용하며 전개된 과정을 전부 게재할 수는 없고, 우리 생활에서 많이 쓰는 것들을 중심으로 게재하였으니 참고하여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빨간색 원숫자는 나와의 촌수를 나타내며, 직계존.비속간의 촌수를 표시하면 1촌이라 할 것이고,
         형제자매간은 2촌이 됨.

     

     

     

    (종          족)

     

     

     

    (내  척)

    (직  계)

    (방  계)

     

    고조부

     

     

    ┌───────────────────┼───────────────────┐

    증대고모

     

     

     

     

    증조부

     

     

     

     

    종증조부

    ┌───────────────────┼──────────────┐

    대고모

     

     

     

    조부 : 모

     

     

    종조부

    재종조부

    ┌──────────────┼─────────┐

    내종숙

    고모 : 부

     

     

    부 : 모

     

    :숙

    당숙부

    재종백숙

     

    ┌─────────┼────┐

     

    내종형:

    자:매

    매부

     

    :처

    :형수

    :

    종형:

    재종형:

    삼종형:제

     

     

     

     

    내종질

    생질

    사위 

    아들

    자부

    조카(질)

    당질

    재당질

     

     

     

     

     

     

     

     

    외손

    손자

    손녀

    종손

    재종손

    삼종손

     

     

     

     

     

     

     

     

     

     

     

     

    증손

    종증손

     

     

     

     

     

     

     

     

     

     

     

     

     

     

     

     

    현손

     

     

     

     

     

     

(외          족)

 

 

외증조

 

 

 

 

├────────┐

 

외조부

 

 

외종조

┌─────┼─────┐

이모

모:부

외숙

 

외당숙

이종형:

외종형:

 

외재종형:제

 

 │

 

이종질

 

 

외종질

 

외재종질

 

(처          족)

 

 

처증조

 

 

 

 

 

처조부

 

 

장모

 

┌──────┼──────┐

처형:처

아내

처남

 

이질

 

 

처조카

 

갈    래

친    척 (親 戚)

친족(親族)

척   족(戚 族)

친   척

종친(宗親)

외척(外戚)

인척(姻戚)

당 (黨)

부당(父黨)

모당(母黨)

처당(妻黨)

가 (家)

친가(親家)

외가(外家)

처가(妻家)

족 (族)

종족(宗族)

외족(外族)

처족(妻族)

 

호칭과 지칭에 대한 참고사항

  문화가 발달하고 새로운 제품이 생산되면 그에 합당한 명칭의 신조어가 만들어 지듯, 사람 사이의 호칭도 접촉 빈도에 따라 바뀌고, 새로이 만들어지는가 봅니다.

  여기 올린 자료를 잘 활용하시되, 현장의 상황, 항렬, 연령 등을 고려하고, 먼저 상대를 배려하려는 마음 가짐을 앞세워  상대를 낮추어 하대 하려 들지 말고, 상대방을 인격적으로 존중하려고 노력하면 정확한 호칭어나 지칭어를 몰라도 한결 수월하게 대화나 상황전개가 잘 진행되리라 봅니다.

 1. 항렬이 낮은 사람은 엄밀히 따지면 장손 집안에서 나타나지요.
     전통 옛법에서도 장손, 장조카에게는 하대 하지 않았지요.
     조카가 다섯살이상 차이가 나면 서로가 평대 하도록 하였지요.

 2. 대상자를 직접 부를 때 삼촌,사촌,오촌,외삼촌 등 숫자의 호칭은 안썼으나 요즘은 그냥 사용하더군요.
    삼촌은 '숙부', 사촌은 '종형.종제', 오촌은 '당숙부', 외삼촌은 '외숙부', 육촌은 '재종형.제' 이지요.

 3. 여자들만이 부르는 호칭 : 언니의 남편은 '형부', 여동생의 남편은 'ㅇ서방(님)'.
    '올케', '언니', '시누이', '시숙', '시아주버님', '시아버님', '시어머님', '시이모님', '시고모님'.
    남편 누님의 남편 즉 '남편의 매형'에 대한 호칭은 원래는 없었는데 '아주버님'으로 하였고,
    제3자에게는 아이들 이름을 붙여 'ㅇㅇ고모부'라 해도 됩니다.
    '아주버니'나 일부 지방에서 사용하는 '아재'는 낮춤말이랍니다.

 4. 부를 대상자가 많거나, 혼돈이 생길 경우 지역 이름을 적절히 사용하여 구분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가령, 인천당숙, 부산형님, 대전서방님, 대구매형, 신림동숙부 등

    직계 존.비속 및 형제.자매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조부(祖父)

할아버지

저. 제가. 불효손

할아버지, 조부님

왕대인. 조부장. 왕부장

아버지의 아버지를 말하며, 같은 할아버지의 손자들끼리는 '종형제' 즉 4촌간이 됨.

조모(祖母)

할머니

저. 제가

할머니, 조모님

왕대부인

부(父)

아버지. 父主

저. 제가. 불효자. 소자

아버지, 가친.엄친

춘부장.춘장.춘당

친 부모님께는 '아버지'와 같이  '님'자를 붙이지 않으며, 돌아가시면 '선친', '선고'로 지칭.

모(母)

어머니. 慈主

저.제가

어머니, 자친

자당. 훤당

부모(父母)

부모님. 양위분

고애자(돌아가신 뒤)

부모님. 양친

양위. 양당

남편(男便)

여보, 영감. ㅇ아빠

나, 처

남편. 그이. 바깥양반

부군.현군.주인어른

남편을 시부모께 지칭 : 아비, 아범, 저이, 이이

친정부모께 지칭 : ㅇ서방, 그사람

아내(妻)

여보. 마누라, ㅇ엄마

나, 부

안사람. 아내. 집사람

부인.영부인.합부인

아내를 친부모께 지칭 : ㅇㅇ어미(어멈), 그사람

장인께 지칭 : ㅇㅇ어미(엄마), 그사람, 안사람

아들(子)

얘,큰애.작은애. 이름

애비.에미.나.부.모

자식.큰애, 작은애

자제.영식.영윤

자부

얘,아가,어멈아

나,시아버지,시어머니 며느리,큰애,작은애 자부,며느님

(女)

얘(큰애.작은애). 이름

애비.에미.나.부.모

딸. 큰애, 작은애

따님.영애.영교

사위(壻)

ㅇ서방

장인, 장모

사위. ㅇ서방

서랑

손자, 손녀

이름, 얘

나. 할아버지, 할머니

손자. 손녀

영손

(兄)

형, 형님

저. 동생. 아우

큰형(님). 작은형

백씨(장).중씨(장)

형수(兄嫂)

형수님. 아주머님

저. 시동생

큰.작은형수(님)

큰,작은형수씨

(弟)

동생. 아우. 이름

나. 형

아우.동생

제씨. 영제씨

제수(弟嫂)

제수씨. 계수씨(막내)

나. 시아주버니

제수(씨). 계수(막내)

영제수씨.영계수씨

누나(姉)

누나. 누님

저. 나. 동생

누나, 누님

영자씨

   "   남편

매형, 매부

저, 나, 처남

매형, 매부

'자형'은 제외 되었음.

여동생(妹)

동생. 이름

나. 오빠. 언니

누이동생

영매씨

   "   남편

매부, ㅇ서방

나, 처남, 처형

매부, 동생의 남편

매부(연장자)

생질(甥姪)

이름, 얘, 생질, 생질녀

외숙부, 외삼촌

생질, 생질녀

생질, 생질녀

오빠

오빠, 오라버니(님)

자녀에게는 외삼촌, 언니의 남편은 '형부'

   "   아내

(새)언니

자녀에게는 외숙모,  여자인 경우 남동생의 아내는 '올케'

고조부
(高祖父)

'조부의 조부'이시고, '아버지의 증조부'.
 고조부가 같은 방계의 형제들은 8촌간으로 '삼종형제'라 함.

증조부

'아버지의 할아버지'이시며,  증조부가 같은 형제들끼리는 6촌간으로 '재종형제'라 함.

※. 누나의 남편을 자형과 매형의 논란 과정에서 '매형'의 매(妹)란 글자는 누이동생에게쓰는 글자이므로 거기에 '형'을 붙이는 것은 모순이란 말도 있었으나, 국어사전에도 올라있고 통상적으로 많이 쓰는 '매형'으로 통일 하였답니다.  누나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적으면 '매부'라 하고, 또한 누이동생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매부', 나이가 적으면 'ㅇ서방'으로 호칭.
 어느 사이트 게시판의 질문을 보니 "처의 오빠가 자기보다 나이가 적다하여, 자기보고 '형님'이라 부른다. 이게 맞느냐?"한 질문을 보았는데 이는 절대 안되지요. 누이동생의 남편이 아무리 자기보다 나이가 많다하여도 '형님'은 안되고, '매부'라 하며, 서로가 존대의 예를 해야지요. 즉, 처의 오빠가 나보다 나이가 적다하여 손위 행세를 할 수 없고, 누이동생의 남편이 나이가 많은 경우 하대 할 수 없는 것이지요

   
  백.숙부 및 종형제와 조카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백부.숙부
(伯父.叔父)

큰아버지.작은아버지

저.조카

백부.중부.계부(막내)

백완장.완장.계부장

아버지의 형제이므로 나와는 3촌간. 아버지의 형이 여럿인 경우 큰아버지, 둘째아버지, 셋째아버지라 하며, 아버지의 동생은 작은 아버지(숙부)이다.

백모.숙모
(伯母,叔母)

큰어머니.작은어머니

저.조카

백모. 숙모

백,중,숙모부인

종형(從兄)

형님. 종형님

아우. 종제

사촌형. 종형

영종형씨. 영종백씨

나와 4촌간으로,   할아버지 부터는 조상이 같은 자손들임.

종제(從弟)

아우. 종제

형님. 종형님

사촌아우. 종제

영종씨. 현종씨

당숙(堂叔)

당숙. 종숙. 아저씨

종질. 당질

당숙. 종숙

종숙장. 당숙장

아버지의 4촌형제로,  당숙은 5촌이고 당숙의 자녀는 '재종형제'라하며  6촌간이 됨.

종조부
(從祖父)

종조할아버지. 종조부

종손

종조부, 종조할아버지

귀종조부님

조부님의 형제,  아버지의 백.숙부를 말함.  종조부의 손자는 나와 6촌형제가 됨.

종조모

종조할머니. 종조모

종손

종조모, 종조할머니

귀종조모님

재종형
(再從兄)

형. 재종형

재종제

재종형, 육촌형

영재종씨

당숙의 자녀로 6촌간이며,  증조부 부터는 같은 조상의 후손들임.

재종제

아우. 이름. 재종제

재종형

재종제, 육촌동생

영재종제씨

조카(姪)

이름, 조카, ㅇ아범

숙부, 숙모

조카

장조카는 예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조카가 아저씨보다 5살이상 위이면 서로 예우함.

조카의 아내

아가, ㅇ어멈

숙부, 숙모

조카며느리, 질부

여자 조카

이름, ㅇ어미, ㅇ어멈

숙부, 숙모

조카딸, 질녀

조카 사위

ㅇ서방, ㅇ아범

처숙부, 처숙모

조카사위, 질서

조카 들

  나의 형제의 자녀는 3촌간으로 '조카'(질)인데,  같은 남자형제의 자녀는 '조카, 조카딸'
  누나, 여동생의 자녀는 '생질'(즉 나를 외숙부라 부르는 사람)
  나를 고모라 부르는 친정조카는 '가질'이라 하는데 '조카' 또는 '친정조카'라 하고,
  나를 고모부라 부르면 '처조카'
  나를 이모, 이모부로 부르는 조카는 '이질'(여자 형제의 자녀,  처형.처제의 자녀들)
  나를 당숙으로 부르는 조카는 당질(사촌형제 즉 종형제의 자녀)


   고모와 내종형제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고모(姑母)

고모

저. 가질

고모

존고모부인

아버지의 여자형제로, 고모의 자녀는 '내종형제' 또는 '내사촌'이라 함.

고모부

고모부

고모부

존고숙장

내종형
(內從兄)

내종형

외종제

내종형

귀내종형

고모의 자녀,   '고종형제', '내사촌' 또는 '고종사촌'으로 부름. 여자끼리는 '내종언니'

내종제

내종제

외종형

내종제

귀내종제

대고모

'할아버지의 누이', '아버지의 고모'이며,  '왕고모'라고도 함.

내종질

'고모'의 손자, '고종형제'(내사촌)의 자녀들을 말함.

아버지의
  고모,이모,
  외삼촌

아버지의 고모

대고모, 왕고모, 고모할머니, ㅇㅇ할머니.  (ㅇㅇ는 사시는 지역이름)

아버지의 이모

이모할머니, ㅇㅇ할머니.                         (ㅇㅇ는 사시는 지역이름)

아버지의 외삼촌

진외할아버지. ㅇㅇ할아버지.                   (ㅇㅇ는 사시는 지역이름)

    외가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외조부
(外祖父)

외할아버님

저. 외손

외조부.외왕부

외왕존장. 외왕대장

어머니의 아버지,  아버지의 장인이며, 아들은 '외숙부', 딸은 '이모'가 됨.

외조모

외할머님

저. 외손

외조모

외왕대부인

외숙(外叔)

외삼촌. 외숙부

저. 생질

외숙. 외삼촌

귀외숙. 귀표숙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이며, '외숙부'라 함.

외숙모

외숙모

저. 생질

외숙모

귀외숙모

이숙(姨叔)

이모부. 이숙

저, 이질

이모부, 이숙

귀이숙장

이모(姨母)

이모

저, 이질

이모

귀이모

어머니의 여형제로, 이모의 자녀는 '이종형제' 또는 '이종사촌'이라 함.

외종형
(外從兄)

외종형

내종제

외종형

귀외종형

외삼촌의 자녀, '외사촌'이라고도 하며, '외사촌'은 나를 '고종사촌'이라 부름.

외종제

외종동생, 표종제

내종형

외종제

귀외종제

이종형.제

이종형, 이종동생

이종동생, 이종형

이종사촌형.제

 

진외가

陳外家, 할아버지의 처가, 즉 아버지의 외가
진외조부 : 할아버지의 장인, 아버지의 외할아버지.
증외조부 : 증조부의 장인, 할아버지의 외할아버지.

증외가

曾외가, 증조부의 처가, 할아버지의 외가

외외가

外外家, 어머니의 외가


참고 : 많이 사용하는 것중 고쳐야 할 몇 가지를 소개하면

   1. 성인이 되어서도 아버지, 어머니를 '아빠', '엄마'로 부르는 것. 또 '님'자를 붙이는 것.
       특히, 시부모 앞에서 '친정아빠', '친정엄마'라 하는 것
       단, 편지를 쓸 때는 '아버님', '엄마' 등으로 예외로 사용할 수 있다고 봄.
   2. 살아계신 아버지를 '선친', '선고'라고 하는 것(돌아가신 뒤에만 사용)
   3. 남편을 '아빠', '오빠', '형' 등으로 부르고, 아내를 '와이프'라고 부르는 것
   4. 남편의 남동생, 여동생을 각각 '삼촌', '고모'라고 부르는 것.


    
다음은 처족과 관련하여 알아 봅니다.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장인(丈人)

장인어른

저. 사위

장인, 빙장(어른)

귀악장

장모(丈母)

장모님

저. 사위

장모, 빙모(님)

귀빙모부인

  여자가 시집을 가면 나이에 관계없이 남편 쪽의 서열에 따라 남편 동기의 배우자 등에 대한 호칭과 경어 사용이 정해지는데, 아내의 동기들에게는 여자의 서열에 관계없이 '사회의 사귐 관계'라 하여 남자들의 나이에 따른다는 것은 지나친 남성 위주의 사고라는 지적도 있지요.
  또 핵가족화의 영향등으로 본가와는 분가하여 살다보니 자연스레 처가와 왕래가 많아져 처남과 매부가 친형제 이상으로 가깝게 지내는 일이 많아졌지요.  그러다 보니 심지어 남에게는 '형님'이라고 하면서 손위 처남을 '형님'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답니다.

  1. 요즘은 처의 부모님을 장인, 장모님 보다 아버님, 어머님으로의 호칭을 더 많이 쓰더군요.
     전례에는 장인어른을 '아버님'이라 할 수 없고,  또 손위 처남한테도 '형님'이라고 부를 수가 없었지요.
     하지만  아내는 나의 부모님께 아버님, 어머님 하는데, 처의 부모님께도 그에 합당한 칭호를 붙여 드려야
     한다는 것이지요. 또 당사자들도 장모 보다는 어머님으로의 호칭을 더 좋아하고 원한답니다.

  2. 처남과 동서간에 있어, 처의 오빠와 처형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연장자인 경우는 '형님'으로, 자신보다
     연하인 경우에는 '처남', '동서'라 부르도록 하였답니다.  그렇다고 연하인 처의 오빠와, 연하인 처형의
     남편에게 하대해서는 안되겠지요. 이런 경우는 서로가 존대의 예를 갖춤이 타당하다고 봅니다.
     여기서 처의 오빠를 형님으로 했다하여 '처남의 댁'을 형수님이라 해서는 안되겠지요.
     그렇다고 나이 차이 많은 처남댁을 직접 부를 때 ' 처남의 댁'이라 하지 않고 '아주머님'이라 한답니다.

  3. 또 아랫동서나 처제, 처남 등에게 나이 차이가 있다 하여도 '하대' 하지 않으나 요즘은 처가와의 밀착도에
     따라 처가의 아들 노릇을 하고, 친동생과 같이 지낸다 하여 하대를 하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세월의
     변화라 보며 그것이 꼭 상식에 어긋난다고 어찌 나무랄일은 아닌 것 같더군요.

    위의 내용 등을 도표로 표시하면

대 상 자

호칭, 지칭

제 3자에게 지칭할 때

자녀에게 지칭할 때

 장인어른, 아버님

 장인(어른),ㅇ외할아버지

 외할아버지

 장  모

 장모님,  어머님

 장모님, ㅇ외할머니

 외할머니

 아  내

 여보, ㅇ엄마, 임자, 당신

 처, 아내, 어멈(부모)

 어머니

 아내의 오빠

 형님, 처남(연하)

 처남, ㅇ외삼촌

 외숙부, 외삼촌

 아내 오빠의 아내

 아주머니, 지칭:처남의 댁

 처남의 댁, ㅇ외숙모

 외숙모

 아내의 남동생

 처남, 이름, 자네

 처남, ㅇ외삼촌

 외숙부, 외삼촌

 아내 남동생의 아내

 처남의 댁

 처남의 댁, ㅇ외숙모

 외숙모

 아내의 언니

 처형

 처형, ㅇ이모

 이모

 아내 언니의 남편

 형님, 동서(연하)

 동서, ㅇ이모부

 이모부

 아내의 언니/여동생

 처제

 처제, ㅇ이모

 이모

 아내 여동생의 남편

 동서, ㅇ서방

 동서, ㅇ이모부

 이모부

 사 위

 ㅇ서방, 여보게, 사위

 ㅇ서방, 우리사위

 아빠, 아버지

 아내의 조카

 이름, 얘

 처조카, 처조카딸

 외사촌형.제/언니.동생

대 상 자

호칭, 지칭

제 3자에게 지칭할 때

자녀에게 지칭할 때

 시아버지

 아버님, 아버지

 시아버님, 아버님

 할아버지

 시어머니

 어머님, 어머니

 시어머님, 어머님

 할머니

 남  편

 여보, ㅇ아빠, 당신, 영감

 남편, 그이, 아범(시부모)

 아버지

 남편의 형

 아주버님

 아주버님, 시숙

 큰아버지, 백부님

 남편의 남동생

 도련님(미혼), 서방님

 도련님, 시동생

 숙부님, 작은아버지

 남편의 누나

 형님

 시누이

 고모

 남편의 여동생

 아가씨, 아기씨

 시누이

 고모

 남편 형의 아내

 형님

 형님, 큰동서

 큰어머님, 백모님

 남편 동생의 아내

 동서

 동서

 작은어머님, 백모님

 남편 누나의 남편

 아주버님

 자녀이름 '○○'고모부

 고모부

 남편 여동생의 남편

 서방님

 자녀이름 '○○'고모부

 고모부

 며느리

 아가, 새아가, 며늘아

 우리며느리, 며늘애, ㅇ댁

 엄마, 어머니


       아저씨, 아주머니 등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국어사전의 어원으로 볼 때
 1. 아저씨 :  ①'부모와 같은 항렬의 남자',  그러므로 '당숙', '재당숙', '삼종숙' 등에 사용.,
                  ②'또는 그와 같은 또래의 남자를 정답게 부르는 말'
 2. 아주머니:①어버이와 같은 항렬의 여자.  아저씨의 아내. ③자기와 같은 항렬되는 사람의 아내.
                   ④부녀자에 대한 통칭.  경칭어는 '아주머님'
 3. 아주버니 : 남편과 같은 항렬되는 남자.   높임말은 '아주버님'
 4. 아재 : 아저씨, 아주버니의 낮춤말.  '아재비' 도 아저씨의 낮춤말 임.
 5. 아제 : ①아저씨의 낮춤말. ②여자가 자기 여동생의 남편을 부르는 말.
 6. 아주미 :  '아줌마', '아줌니' 등 아주머니의 낮춤말.


 
    사돈 관계의 호칭과 지칭어

대 상 자

관계

호칭어 및 당사자에게

 자녀 배우자의 부모 및 삼촌 항렬

 (자녀 배우자 : 사위, 며느리)

남:남

사돈어른, 사돈, ㅇ(외)할아버지

남:여

사부인, ㅇ(외)할머니

여:여

사부인, 사돈,  ㅇ(외)할머니

여:남

사돈어른(밭사돈), ㅇ(외)할아버지

 동기 배우자의 형제자매 및  배우자
 
(동기 배우자 : 형수,제수,올케,매부)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여자에게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며느리, 사위의 조부모

 

사장어른

 동기 배우자의 부모

 

사장어른

 자녀 배우자의 형제자매 및 조카
 동기 배우자의 조카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여자에게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촌수 계보도

 

촌수 계보도 좋은 자료가 있어서...여기에


갈수록 핵가족화 돼어가는 우리나라지만 기본적인걸 알고 살아가는게 좋을것 같아서 올립니다.참고로 하세요.

 


상황 1.우리집. 오늘은 주로 친가쪽 친척들이 모였다.

호칭

관계

특별호칭

아버지

나를 낳아주신 분

부친(父親) 가친(家親)

어머니

나를 길러주신 분

모친(母親) 자친(慈親)

할아버지

아버지의 아버지

조부(祖父)

할머니

아버지의 어머니

조모(祖母)

증조 할아버지

할아버지의 아버지

증조부(曾祖父) 한 할아버지

증조 할머니

할아버지의 어머니

증조모(曾祖母) 한 할머니

남편

지애비, 아비

부(夫) 가장(家丈)

아내

지어미, 자기 부인

처(妻) 내자(內子)

아들

내가 낳은 사내아이

가아(家兒) 돈아(豚兒)

며느리

아들의 아내

자부(子婦)

내가 낳은 여자아이

여식(女息)

사위

딸의 남편

서랑(胥郞)

손위형제

장형(長兄) 사백(舍伯) 사중

형수

형의 부인

큰 형수(長兄嫂)

아우

손아래 동생

사제(舍弟) 동생

제수

아우의 아내

제수(弟嫂)

누이

손위 자매

가매(家妹) 언니

자형

누이의 남편

자형(姉兄) 매형(妹兄)

누이동생

손아래 남매

매(妹) 가매(家妹)

매제

누이동생의 남편

매부(妹夫) 매제(妹弟)

큰 아버지

아버지의 큰형

백부(伯父) 중백부(仲伯父)

큰 어머니

아버지의 형수

백모(伯母) 중백모(仲伯母)

작은 아버지

아버지의 동생

숙부(叔父) 계부(季父) 삼촌

작은 어머니

아버지의 제수

숙모(叔母)

당숙

아버지의 사촌형제

당숙(堂叔) 종숙(從叔)

당숙모

아버지 사촌의 부인

당숙모(堂叔母) 종숙모(從叔母)

재당숙

아버지의 육촌의 형제

재당숙(再堂叔) 재종숙(再從叔)

재당숙모

아버지 육촌의 부인

재당숙모 재종숙모

종조부

할아버지의 형제

종조부(從祖父)

종조모

할아버지의 형수, 제수

종조모(從祖母)

종형제

아버지의 조카

사촌형제(四寸兄弟)

종수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사촌형수, 제수

재종형제

당숙의 아들

육촌형제(六寸兄弟)

재종수

당숙의 며느리

육촌형수, 제수

조카

형, 아우의 아들 딸

질(姪) 조카딸(조카사위)

조카며느리

조카의 아내

질부(姪婦)

당질

사촌의 아들

당질(堂姪)

당질부

사촌아들의 아내

당질부(堂姪婦)

종손

조카의 아들

종손(從孫)

재종손

육촌의 손자

재종손(再從孫)


상황2. 며느리. 여기는 시집

호칭

관계

특별호칭

시아버님

남편의 아버지

시부(媤父) 시아버지

시어머니

남편의 어머니

시모(媤母) 시어머니

시숙

남편의 형, 시아주버니

시숙(媤叔) 서방님

동세

남편의 형수

동시(同媤) 형님

동서

남편형제의 아내

동서(同胥)

시동생

남편의 아우

기혼은 서방님, 미혼은 도련님

시누이

남편의 남매, 아가씨

시매(媤妹), 기혼손위는 형님, 손아래는 아우, 미혼은 아가씨


상황 3. 외가댁.

호칭

관계

특별호칭

외할아버지

어머니의 아버지

외조부(外祖父)

외할머니

어머니의 어머니

외조모(外祖母)

외숙

어머니의 남자형제

외숙(外叔) 외삼촌(外三寸)

외숙모

외삼촌의 부인

외숙모(外叔母)

외사촌

외삼촌의 아들

외종(外從)형제

외종수

외삼촌의 며느리

외종수(外從嫂)

외당질

외사촌의 아들 딸

외당질(外堂姪) 외당질여

외당질부

외사촌의 아들 딸

외당질(外堂姪) 외당질여

외당질

외사촌의 며느리

외당질부

진외당숙

아버지의 외사촌

진외당숙(陳外堂叔)



상황 5.남편. 처가댁에 인사왔다.

호칭

관계

특별호칭

장인

아내의 아버지

장인(丈人) 빙장

장모

아내의 어머니

장모(丈母) 빙모

처백부

아내의 큰어머니

처백모(妻伯母)

처백모

고모의 아들 딸

내종사촌(內從四寸)

처숙부

아내의 작은아버지

처숙부(妻叔父)

처남

아내의 남자 형제

처남(妻男)

처남댁

처남의 부인

처남댁(妻男宅)

처조카

아내의 조카

처질(妻姪)

 

출처 : 학성산의 행복찾기
글쓴이 : 학성산 원글보기
메모 :